-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여, 지난 10월19일부터 11월 2일 사이에 열린 <Seoul Design 2022>에 공업디자인학과 학생들이 '영 디자이너 워크숍&전시'와 '청년 디자이너 DDP 브랜드 상품전'에 참가하였다. 영 디자이너 워크숍&전시는, 서울디자인2022의 주제인 Beautiful Life에 대해 젊은 학생 디자이너들이 상상하고, 멘토들과 함께 고민하고 워크샵을 진행하면서 디자인작품을 제작하고 전시한 행사다. 총 11개 대학 70명의 영 디자이너(멘티)와 15명의 멘토가 참여했는데, 우리학과에서는 연명흠 교수가 멘토로, 강병준(18), 김장현(18), 이창준(18), 풍제석(18)이 멘티로 참가하였다. 워크샵은 1차 - Ice breaking(7.1), 2차 - Ideation(7.13), 3차 - Brading & Communication(8.26), 4차 - Exhibition(9.16)의 4번의 전체 워크샵과 팀별 워크샵으로 이루어졌다. 워크샵을 통해 서로 다른 대학의 디자인전공 학생들 간의 교류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의 배움이 가능했다. 영 디자이너 전시공간은 ddp 아트홀 1관 내 마련되어, 각 팀별 2.5*2.5m 부스에서 진행되었다. 우리학과 팀은 '아날로그에 기록된 아름다운 기억들로부터 미래를 투영합니다'를 슬로건으로 MZ세대에게 새롭게 느껴지는 카세트테이프, 필름카메라 등 아날로그 제품에서 영감을 얻어 기억을 연결하고 확장할 수 있는 Damda를 디자인하여 호평을 받았다. 서울디자인2022에는 이외에도 디자인 트랜드 컨벤션, 디자인 마켓 등 여러 부대행사가 동시 진행되었다. 부대행사의 하나인 <청년 디자이너 DDP 브랜드 상품전>은 DDP의 브랜드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청년 디자이너들과 멘토들이 함께 제품을 디자인하고 대량 생산하여 납품하는 것으로, '삶의 첫 순간에 필요한 디자인'이 주제였다. 이 공모전에 김슬기(21), 유지혜(21) 학생이 Spextrum의 왕춘호 대표의 멘토링을 받아 제작한 아크릴 재질의 북엔드 '스택'이 최종 생산할 제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스택은 DDP의 계단을 Top view에서 본 모습을 형상화하고 DDP의 알루미늄 패널에 비치는 도시 풍광을 그라데이션 색상으로 적용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기존의 유기적 곡선의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아이덴티티 요소를 발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13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11-30
- 684
- 동영상동영상
-
-
111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11-29
- 1195
- 동영상동영상
-
연명흠 교수는 한양대학교 정의태 교수, 서울대학교 정의철 교수와 함께, KMOOC 묶음강좌 'UXUI디자인:입문부터 심화까지'를 개설하였다.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HYUk+HYUkBU_HYUKEMOOC2022-1k+2022_C1/about 이 묶음강좌는 UX디자인에 대한 개괄적 이해와 여러 방법론의 습득, 앱/웹 디자인의 실무적 영역에 대한 이해, 현업에서 전개되는 UXUI의 현황에 이르기까지 빈틈없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가장 먼저 개설된 UX/UI디자인 입문(1강)은 종료되었고, 현재는 UX/UI디자인 프로젝트(4강)가 진행되고 있다. UX디자인(2강), UI디자인(3강)은 순차적으로 오픈될 예정이다. pssd랩의 김동윤, 진종현 학생이 TA로 활동하고 있다. 이 강의가 완성되기까지 친한 동료교수이기도 한 3인의 팀웍, 강의자료의 빈틈을 매꾸기 위한 노력, 메이크업을 하고 카메라 앞에 서는 낯선 경험이 이어졌다. 강의내용은 아래와 같다. 'UXUI디자인:입문부터 심화까지' 1강. UX/UI 디자인 입문(12강) 1-1 UX/UI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1-2 왜 UX/UI 디자인이 요구되는가 1-3 UX/UI 디자이너의 소양 1-4 UX/UI 디자이너 1-5 UXUI 디자인연구의 주제와 동향 1-6 좋은 UX/UI디자인이란 무엇인가 1-7 UX/UI 디자인의 성공과 실패사례 1-8 UX/UI 디자인 프로세스 이해 1-9 UX/UI 프로세스 특징과 활용 1-10 UX/UI 프로세스와 디자인사고 1-11 디자이너의 추론적 사고:문제 이해와 기회 포착 1-12 디자이너의 추론적 사고:창의적 발상과 평가 2강. UX디자인(11강) 2-1 UX디자인의 이해 2-2 리서치의 개괄 및 인터뷰 2-3 관찰 2-4 설문과 통계 2-5 인간심리와 행동에 기반한 UX디자인 2-6 인사이트 도출 2-7 퍼소나 정의와 활용 2-8 고객여정지도와 요구사항 분석 2-9 디자인 콘셉트 아이데이션 2-10 코크리에이션 워크샵과 시나리오 2-11 롤플레잉과 서비스 블루프린트 3강. UI디자인(11강) 3-1 UI 디자인의 이해 3-2 OS에 따른 디자인 3-3 인터랙션과 사용성 3-4 접근성과 유니버설디자인 3-5 IA와 Workflow /카드소팅 3-6 UI 디자인 패턴 3-7 Design System과 UI Prototyping 3-8 UI Prototyping #1 - Web 3-9 UI Prototyping #2 - Mobile 3-10 UI Prototyping #3 - IoT 3-11 사용성 테스트 4강. UX/UI 디자인 프로젝트(14강) 4-1 UXUI 프로젝트의 시작과 종료 4-2 해외에 진출한 UXUI 디자이너 4-3 디자인 프리젠테이션 / 디자인 툴 4-4 미래 모빌리티 / UXUI 디자인 에이전시 4-5 Game / Entertainment 4-6 Sound / Music UX 4-7 헬스케어 4-8 웹툰&웹소설 / 메타버스 4-9 E-commerce 4-10 기업 업무통합 / 관리 시스템 4-11 Data-Driven UX Design 4-12 로봇 / AI 4-13 UXUI 창업 4-14 UX의미래, UX방법론의 활용
-
109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10-29
- 481
- 동영상동영상
-
-
107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10-24
- 427
- 동영상동영상
-
지난 10월17일(월), 디자인과 인간관점을 수강하는 27명의 학생들과 연명흠 교수는 국립재활원을 방문하여 현장수업을 진행하였다. 국립재활원은 학교에서 자동차로 15분 거리인 성북구 수유동에 위치해, 비교적 쉽게 가볼 수 있는 기관이었다. 이른 아침부터 재활연구소의 열린플랫폼 PD님들은 학생들을 2팀으로 나눠 국립재활원의 이곳저곳을 인솔하며 설명해주었다. 국립재활원 전경 처음가 본 곳은 재활연구소의 열린플랫폼 개발실. 각종 보조기기와 재활기기가 디자인되고있는 곳이었다. 열린플랫폼에 대한 설명을 듣고, 전시되어 있는 각종 보조기기를 살펴보면서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열린플랫폼은 '이런 보조기기가 필요하다'는 수요의견을 올리거나, '이런 보조기기는 어때요'라고 디자인을 제안하거나, '이 보조기기를 만들어주세요'라는 제작의뢰가 공유되고 제작이 이루어지는 개방형 홈페이지이자 실제의 메이커스페이스였다. 열린플랫폼 다음으로 가 본 곳은 보조기기실로, 개인맞춤형 보조기기가 만들어지는 곳이었다. 개별 장애인의 신체에 정확히 맞추기 위해 한 학생을 모델로 석고모형을 뜨는 시범을 보여주었고, 이 석고틀을 본으로 해서 열가소성 소재로 손보조기를 만드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외에도 손,발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다종다양한 소재와 구조의 보조기기들과 이를 제작할 수 있는 시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 본 곳은 재활기기 전시장이었다. 거실처럼 꾸며진 전시장에는 책장을 넘기는 장치, 시선으로 콘트롤할 수 있는 컴퓨터, 화장실에서 기립을 도와주는 장치, 그리고 수많은 종류의 휠체어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이곳을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유니버설 디자인, 베리어프리 디자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렇게 전시를 마친 학생들은 다시 열린플랫폼 개발실로 돌아와, 학생들을 위해 방문해주신 장애인이자 함박TV 크리에이터인 함정균 선생님을 만났다. 경수마비장애로 손에 힘을 주거나 쥐는 것이 불편한 함정균 선생님은 병따개, 캔따개, 우유곽오프너, 손톱깎이 등 각종 보조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시범보이면서, 어떤 점이 개선되어야 하고, 지금의 보조기기가 어떤 점에서 불편한지를 실감나게 설명해주셨다. 비장애인은 어렵지 않게 딸 수 있는 PET병 뚜껑도 힘겹게 여는 모습을 보면서, 학생들은 장애을 위한 디자인, 인간공학, 나아가 인간을 위한 디자인에 대해 깊이있게 이해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의자료를 보고듣는 것이 아닌 실제의 공간에 있는 실물을 보고듣고 만져보는 경험, 그리고 장애를 겪는 수요자를 만나는 체험을 통해 실제감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는 뜻깊은 경험이었다.
-
105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10-24
- 468
- 동영상동영상
-
-
103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09-16
- 573
- 동영상동영상
-
-
101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09-15
- 564
- 동영상동영상
-
지난 8월 22일(월) ~ 25일(목), 시바우라공업대학(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학생들이 일본 문부성 지원의 국제화 프로그램인 Top Global University사업의 일환으로 우리 국민대학교 공업디자인과를 방문하여, 우리학과 학생들과 함께 2022 SIT-KMU Summer Camp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Camp에서는 '내가 본 서울 Seoul I Saw'을 주제로, 서울에 대한 서로 다른 다채로운 시선을 나누었다.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하는 서울디자인대학생워크샵에 참가하는 3팀(SIT 1팀, 국민대 공업디자인과 1팀, 공간디자인과 1팀)이 참가한 이번 Camp는 서울디자인대학생워크샵의 일환이기도 했다. Camp 참여학생은 SIT 18명, 공디과 19명, 공간과 2명으로 구성된 8팀이 참가하였으며, 새로이 리뉴얼된 조형관 315호(22일)와 309호(25일)에서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첫날은 워크샵 오리엔테이션 및 아이스 브레이킹, 3D 프린팅센터 견학, 식사 후 명원민속관 방문을 거쳐 ddp에서 열리는 <시작된 미래. Meta-Horizons: The Future Now> 전시를 관람했다. 둘째날과 셋째날, 서울 곳곳을 다녀보는 필드트립을 거친 후, 마지막 날에는 발표를 하였다. 짧지만 신선했던 4일 간의 Camp를 마친 학생들은 서로를 알아가는 유익한 경험을 나눴고, 겨울에 열릴 SIT-KMU Design Workshop을 기원하며 행사를 마쳤다. 행사 마지막 수렴한 설문조사를 통해 아래와 같은 소감을 확인하였다. 국민대 학생들의 의견(일부): "말로만 들었던 관점의 차이를 몸소 느껴볼 수 있는 기회라 유익했다. 서울에 대해 새로운 점들을 일본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예산 부담이 좀 컸다." 시바우라대 학생들의 의견(일부): "살아있는 한국을 알게됐다. 마지막까지 무엇을 발표해야 좋을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한국 탑레벨의 학생들의 실력을 느꼈다. 한국 멤버들은 생각했던 것보다 상냥하게 서울안내를 해줘서 즐거웠다."
-
99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09-13
- 513
- 동영상동영상
-
-
97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06-29
- 988
- 동영상동영상
-
-
95
- 작성자관리자
- 작성일2022-06-27
- 757
- 동영상동영상